책소개
≪필원잡기≫는 일종의 한문 수필집이다. 조선조 큰 학자로 추앙받는 서거정(徐居正)이 역사에 누락된 사실과 시중에 떠돌던 한담(閑譚)들을 채록한 것이다. 우리나라 한문 수필집으로는 신라 때 혜초가 지은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이나 최치원의 ≪쌍녀분(雙女墳)≫ 등이 비교적 초기 작품들이며, 고려 말기에 오면 이규보의 ≪백운소설(白雲小說)≫, 이인로의 ≪파한집(破閑集)≫, 이제현의 ≪역옹패설(?翁稗說)≫과 같은 작품들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이런 여파로 조선에 들어와서도 한문 수필집이 다양하게 엮어졌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서거정의 ≪필원잡기≫,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성현의 ≪용재총화(?齋叢話)≫ 등이다.
서거정은 당대의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해박한 지식과 탁월한 식견을 가지고 우리나라 사적(事蹟)을 널리 채집하여, 역대 창업으로부터 공경대부들의 도덕과 언행, 문장과 정사들 중에서 모범이 될 만한 것을 가려 뽑고, 또 국가의 전고(典故)와 떠도는 여항풍속(閭巷風俗) 중에서 사회 교육과 관련된 사례는 물론이고, 나라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사실까지도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간결한 필체로 기술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필원잡기≫이다. 그 제목에서 보듯, 붓 가는 대로 주위에 널려 있는 이런저런 사실들을 모아 기록했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으니, 그야말로 송나라 구양수가 남긴 ≪귀전록(歸田錄)≫에 버금가는 작품이 아닐 수 없다.
200자평
서울에도 사가정길이라는 길 이름을 남기고 있는 조선조 최고의 문장가 서거정의 수필집. 역사에 누락된 사실들과 시중에 떠돌던 한담들을 모아 붓 가는 대로 기록한 것이다. 누에가 고치실을 뽑아내듯 그의 맛깔스런 문장이 고금을 통달하지 않고서는 풀어낼 수 없는 다양한 내용들을 줄줄이 엮어내는 것을 보면 왜 저자의 문명(文名)이 그토록 높았던가를 단박에 알 수 있다.
지은이
서거정은 세종 2년에 태어나 69세의 일기로 생을 마감한 조선조 최고의 문장가요 학자였다. 자는 강중(剛中) 또는 자원(子元)이며, 호는 사가정(四佳亭) 혹은 정정정(亭亭亭)으로 불렸다. 목사를 지낸 달성 서씨 미성(彌性)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권근(權近)의 딸이다. 세종 20년에 생원·진사 양과에 합격하고, 세종 26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그의 학문은 폭이 넓어 천문·지리·의약·점성술·풍수에 이르기까지 통달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수양대군을 따라 명나라에 종사관으로 다녀왔고, 세조가 즉위하자 세자 사부로 보임될 정도로 신임을 받았다. 사은사로 중국에 갔을 때 그의 문장을 대륙에까지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고, 국가의 전책(典冊)과 사명(詞命)이 모두 그의 손에서 나왔다. 성종 때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다. 조선시대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經國大典)≫ 찬수에 깊이 관여하였고,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 ≪동문선(東文選)≫, ≪동국통감(東國通鑑)≫,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등의 편찬도 그의 손을 거쳤다. 예문관 대제학과 성균관 지사를 오래도록 겸하면서 문형(文衡)을 맡았는데, 45년간의 관직생활 동안 절반이나 문형을 관장할 정도였다. 아울러 전후 23 차례에 걸친 과거 시험을 관장하여 수많은 인재를 그의 손으로 뽑았다. 학풍과 사상은 조선 초기 관학의 분위기를 대변하였고, 정치적으로는 훈구대신 입장을 견지하기도 했지만, 여러 전적들을 편찬할 때는 신진 사림계의 인물들과 호흡을 맞추기도 했다. 그가 주축이 되어 편찬한 사서·지리지·문학서 등이 너무 많아 일일이 거론하기 힘들 정도다. 시호는 문충(文忠)이고, 문집 ≪사가집(四佳集)≫이 세상에 전한다. 대구 구암서원(龜巖書院)에 배향되었다.
옮긴이
박홍갑은 1955년 경북 청도에서 출생했다. 영남대 대학원에서 『조선 전기 음직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편사연구관, 연구편찬실장, 편사부장 및 상임위원 등을 역임했다. 조선시대 정치?사회사 분야 40여 편의 논문을 토대로 <조선시대 문음제도 연구>, <병재 박하징 연구>, <조선조 사족사회의 전개> 등 학술서적을 저술했고, <사관 위에는 하늘이 있소이다>, <양반나라 조선나라>, <승정원일기, 소통의 정치를 논하다(공저)> 등 교양서적들을 집필하여 우리 역사의 대중화에 힘을 쏟아왔다.
차례
권1
권2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권익평(權翼平)이 경오년(1450)에 향시, 회시, 전시 세 시험에 모두 장원으로 합격하였는데, 군수 김수광(金秀光)은 향시, 회시, 전시 세 시험에 모두 꼴찌로 합격하였다. 당시 사람들이 웃으며, “삼장(三場) 장원은 고금을 통하여 흔히 있는 일이나, 삼장의 꼴찌는 천하에 정녕코 없던 일이다” 하였다.